안녕하세요. 머니마그넷입니다.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 매도세에 2,600선이 붕괴된 가운데, 오늘은 달바글로벌(신규상장), 탈모정책 관련 위더스제약, 코로나19 재확산 테마주들이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5월 22일자 상한가 종목 이슈를 테마별로 정리합니다.
📉 외국인·기관 매도에 코스피 2,600선 붕괴
2025년 5월 22일,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1.22% 하락하며 2,600선 아래로 밀려났습니다. 종가는 2,593.67포인트로, 이는 9거래일 만의 2,600선 이탈입니다.
이날 지수는 전일보다 10.92포인트 낮은 2,614.66으로 출발해 장중 하락 폭을 키웠습니다. 외국인(4,831억), 기관(4,320억) 순매도세가 지수를 끌어내린 반면, 개인은 9,451억원 규모 순매수를 보이며 방어에 나섰습니다.
지수 하락에도 불구하고, 개별 테마 이슈에 힘입은 종목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신규상장, 코로나19 재확산, 탈모치료 정책 등 뉴스 민감형 종목군이 상한가에 올랐고, 정치 공약 및 보건 이슈가 다시 시장 중심으로 부상했습니다.
그럼 오늘 시장을 흔든 상한가 종목과 테마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오늘의 상한가 종목 분석
1. 달바글로벌
화장품 브랜드 ‘달바(d’Alba)’로 유명한 달바글로벌은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60% 이상 상승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퍼스트 스프레이 세럼(승무원 미스트)’ 등으로 유명한 이 회사는 일반청약 경쟁률 1,112:1, 수요예측 경쟁률 1,140:1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고, 청약 증거금 7조 원이 몰렸습니다.
이번 상장으로 확보한 자금을 통해 해외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2. 녹십자홀딩스2우B, 진원생명과학, 더바이오메드, 셀리드, 신풍제약, 신풍제약우
이들 종목은 모두 코로나19 재확산 이슈에 반응해 급등했습니다. 최근 중국, 홍콩, 대만, 태국 등 중화권에서 코로나19 환자가 다시 급증하고 있고, 현지 언론은 이달 말 정점에 이를 수 있다는 경고를 보도했습니다.
셀리드, 진원생명과학, 신풍제약은 각각 백신 및 치료제 개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실적 기여도는 낮아 테마 과열가능성도 존재합니다.
3. 위더스제약
탈모 치료제를 개발 중인 위더스제약은 민주당 정책본부가 '탈모치료 건강보험 적용 공약'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이 후보는 지난 대선에서 ‘소확행 공약’으로 탈모치료 보험 확대를 약속한 바 있으며, 최근 정책본부장은 “이번 총선 공약에도 재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위더스제약은 인벤티지랩과 함께 세계 최초의 '장기지속형 탈모치료 주사제(IVL3001)'를 공동 개발 중입니다.
📌 오늘의 시장 요약
- 코스피 1.22% 하락, 2,600선 붕괴
- 외국인·기관 매도세 집중
- 코로나19, 탈모치료, 신규상장 이슈 급등
💡 투자 전략과 유의사항
오늘의 상한가 종목은 '명확한 테마성 호재'에 반응한 종목들이며, 수급과 뉴스가 동시에 작용했습니다.
달바글로벌처럼 수요예측 흥행 및 화장품 리오프닝 수혜 기대가 있는 경우 중기적 흐름도 유효할 수 있으며, 위더스제약은 정책 수혜 기대감에 따른 '정치 테마성 종목'으로 분류됩니다.
반면 코로나19 테마주는 실적보다 심리에 따라 급등락을 반복하는 만큼 '단기 매매 전략'이 필요합니다. 테마가 과열되기 쉬운 시점인 만큼, 차익실현 기준을 미리 세워두고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5월22일상한가 #달바글로벌 #위더스제약 #셀리드 #진원생명과학 #신풍제약 #코로나재확산 #탈모치료공약 #신규상장 #정치테마 #머니마그넷
'💹 돈의 흐름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21일 상한가 분석] 조선·건설·코로나19 테마 동시 급등! 오늘의 상한가 종목 총정리 (24) | 2025.05.21 |
---|---|
[5월 20일 상한가 분석] 김문수·이재명 테마주 폭등! 정치·바이오 테마 총정리 (14) | 2025.05.20 |
🗳️ 조류독감·대선·상장폐지… 이슈 터질 때 상한가 간 종목은? (6) | 2025.05.19 |
👛돈 되는 대선 공약: 누구의 공약이 당신의 지갑을 살릴까? (4) | 2025.05.19 |
📈 5월 16일 상한가 총정리/흥국화재우·메디콕스·비츠로시스 급등 이유 및 투자 포인트 분석 (12) | 2025.05.16 |